부산국제금융진흥원

부산국제금융진흥원 국문

스킵네비게이션

금융중심지 지정경과 및 특화금융중심지

경과

  • 2009

    • 01

      해양‧파생특화금융 중심지로 부산 지정

    • 07

      부산금융중심지 육성 마스터플랜 용역 실시

  • 2010

    • 08

      부산금융중심지를 해양‧파생분야에 특화된 금융중심지로 육성하기 위한 부산금융중심지 육성 기본계획 수립

  • 2014

    • 06

      부산국제금융센터 1단계 복합개발사업(63층)준공

    • 11

      이전 공공 금융기관 및 지역금융기관 입주

      ※ 이전공공기관(5), 지역기관(3), 해양금융기관(4), 개별기관(3)

  • 2015

    • 08

      부산국제금융센터 2단계 착공

  • 2018

    • 11

      부산국제금융센터 2단계 준공

    • 12

      WAIFC(세계금융센터연합) 가입

  • 2020

    • 07

      부산국제금융진흥원 출범

  • 2022

    • 03

      부산국제금융센터 3단계 착공

  • 2024

    • 06

      금융기회발전특구 지정

특화

  • 해양부문 Maritime Finance

    • 정책금융기관 해양금융조직 이전 (2014년 9월)

      KDB 산업은행 해양산업금융본부, 한국수출입은행 해양금융단, 한국무역보험공사 해양금융부

    • 해양금융종합센터* 개소 (2014년 11월)

      산은-수은-무보 3개 기관의 해양금융 전문 인력이 상주하며 조선 및 해운사 원스톱 금융서비스(대출, 보증, 보험, 투자) 체계 마련

    • 정부 ‘24억불 신조지원 프로그램’ 신설 (2015년 12월)
    • 한국해양보증보험㈜ 보험업 인가 (2015년 6월)
    • 캠코선박운용 부산 이전 (2015년 6월)
    • 한국선박해양설립 (2017년 1월)
    •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(2018년 7월)

      한국해양보증보험 및 한국선박해양 흡수 통합 설립

    • KDB 산업은행-한국해양진흥공사 ‘연안여객·화물선박 현대화 프로그램’ 신설 (2020년 2월)
    • 정부-한국해양진흥공사 ‘해운산업 위기대응 펀드’ 신설 (2023년 6월)

      ‘구조조정 지원 펀드’ 및 ‘ESG지원펀드’ 구성

  • 파생부문 Derivatives

    • 한국거래소 내 파생상품연구센터 설립(2012년 02월)
    • 라우터(파생상품 거래시스템 접속장치) 부산 설치(2012년 6월)
    • 장외파생상품 청산업무(CCP) 개시(2014년 03월)
    • 금거래소 개설(2014년 03월)
    • 한국예탁결제원 부산 이전(2014년 11월)
    • 온실가스배출권거래소 개소(2015년 01월)
    • 한국거래소 청산결제본부 출범(2021년 5월)
    • 한국거래소 거래정보저장소(TR) 출범(2021년 4월)
    • 파생 대용량 서비스 도입(EXTURE 3.0) (2023년 1월)